DevOps BootCamp/데이터베이스

Mariadb

cloudmaster 2024. 4. 29. 12:35

1. 인터넷에서 다운로드한 rpm 파일 설치

 

CentOS 8 패키지를 dnf로 설치 하면, /lib/systemd/system/ 디렉터리에 서비스이름.service 또는 서비스이름.socket으로 등록된다.

 

 

2. windows에서 Linux에 설치된 Mariadb에 접속

 -> mairadb가 설치된 Linux에서는 자동으로 mysql을 치면 접속이 된다. 하지만 패스워드로 데이터베이스의 접근을 제한하지 않으면, 보안에 문제가 될 수 있다.

 

보안을 설정해 보자

 -> 이렇게 패스워드를 맞게 입력하면 접속이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제 설정된 아이디로 Window에서 접근을 해보자

 -> Mariadb 서버에 접근하려면, Mariadb Client가 필요하다.

 -> 연결 거부

이유:
 Mariadb는 이메일 주소와 비슷한 형식으로 사용자 이름을 사용한다.
 즉, '사용자이름@호스트이름 또는 IP주소' 형식으로 사용자를 관리한다.
 Windows에서 입력한 root 사용자의 정식 이름은 root@WindowsIP 주소다. 
  -> 이 사용자의 이름은 없으므로 접근이 거부된다.
 
결론 : 지정된 컴퓨터로만 접근이 가능하다.

 

3. 이제 Windows에서 접근할 수 있도록 Database에 user를 추가하자

 -> 일단 user를 확인한다.

여기서, mysql, test라는 데이터베이스가 있는데 서버를 설치하면 자동으로 생성되며,
mysql에는 MariaDB 서버의 모든 시스템 정보가 들어있다.
 - 그 중 user 정보가 저장된 user 테이블을 확인하고 있다

 

window 컴퓨터에서 접속할 수 있도록 user 생성

 

 

4. 접속

 

Visual Studio와 MariaDB 연동


1. visual studio 설치

2. windows에서 mariaDB 서버로 접속하기 위해 ODBC 설정

3. 호스트 운영체제가 전송하는 데이터를 받을 준비를 하자

 - Server와 ODBC 연결 설정

-> 이렇게 추가하면 설치된 MariaDB 서버에 접속할 수 있다.

 

 

'DevOps BootCamp > 데이터베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MLOps  (0) 2023.03.29
ETL과 ELT  (0) 2023.03.29
정형 데이터와 비정형 데이터  (0) 2023.03.29
데이터 파이프라인  (0) 2023.03.29
수평 확장된 데이터베이스와 중복 처리 (Advanced)  (0) 2023.03.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