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3 Routing
L3 Header에 있는 IP정보로 경로를 찾아주는 기능
> IP Table
> 자신이 가지고 있는 Network 자동인지
> Drop
routing table 만드는 법
1. Connected (자신이 가지고 있는 Network)
2. Static Route (관리자가 직접 경로를 하나씩 지정)
3. Dynamic Route(자동으로 경로 지정)
Routing Protocol
IGP(OSPF, EIGRP)
EGP(BGP)
Routing Protocol
1. Routing Protocol 중에, Distance Vector와 Link State의 차이점
- Routing Table을 자동으로 만들어 주는 기능
- Routing은 Routing Table을 통해 진행
- Routing은 다른 Network간의 통신, L3 통신
- L2 통신은 확장성 없음
D - 거리(metric(hop counter)), 최적 경로만 전달, 주기적인 UPDATE, Classful (RIP)
L - 속도(metric(bandwidth)), 모든 경로 전달, 변화시에만 UPDATE, Classless (OSPF)
EIGRP
(metric(bandwidth,delay)), 최적경로 전달, 변화시에만 UPDATE, Classful
2. Routing Protocol 중에, Classless와 Classful의 차이점
Classless (no auto-summary) -> 경로를 update 시, subnet 정보 포함
Classful (auto-summary) -> 경로를 update 시, subnet 정보 없음 (RIP, EIGRP)
3. Routing Protocol 중에, update 방식의 차이점
주기적인 update 방식 (RIP) -> 30sec, Full Routing update(전체 정보 전달)
변화시에만 update 방식 (OSPF, EIGRP), 변화된 정보만 update
4. Routing Protocol 중에, 사용하는 경로 선택 조건
Router가 Routing Protocol을 선택하는 기준 -> AD
Connected = 0
STATIC = 1
EIGRP = 90
OSPF = 110
RIP = 120
동일한 Routing Protocol로 부터 받은 동일한 경로 중, 하나의 경로를 선택하는 기준 -> Metric
RIP / RIPv2 -> HOP 거리(Router 갯수)
EIGRP -> Bandwidth, Delay
OSPF -> Bandwidth (cost)
OSPF
OSPF가 동작하기 위해 사용되는 OSPF Packet의 종류
- hello (확인 명령어 : show ip ospf neighbor)
- DBD, LSU (확인 명령어 : show ip ospf database)
- "O" 110 Cost(Bandwidth) (확인 명령어 : show ip route ospf)
1. Hello (Neighbor 성립, Neighbor 주기적인 확인(Health Check) 10sec, 40sec)
2. DBD (LSDB를 요약한 정보)
3. LSR (상세 정보 요청)
4. LSU (상세 정보 전달)
5. ACK (수신 확인)
OSPF Neighbor 성립하기 위해 확인 하는 인자
확인 명령어
show ip ospf interface e0/0
show ip ospf
OSPF LSA TYPE 종류 (LSU안에 LSA가 포함)
1. TYPE 1 : Router LSA, Intra Area 경로, O, ABR에서 차단
2. TYPE 3 : Summary LSA, Inter Area 경로 ( ABR), O IA, 모든 AREA로 전파
3. TYPE 5 : External LSA, External 경로 (ASBR), O E2(E1), 모든 AREA로 전파
TYPE 2 (Metric 합산 안함)
TYPE 1 (Metric 합산)
OSPF Area 종류
- Backbone Area (area 0)
- Non Backbone Area (area 1, 50)
- 모든 AREA는 반드시 AREA 0과 연결되어야 함
OSPF AREA의 속성
STUB
- TYPE5 차단 (default route는 자동 전파)
-> STUB AREA는 반드시 외부로 나가는 출구가 하나만 있어야 함(단 한개의 ABR 존재)
AREA 0(Transit Area)이거나 ASBR이 존재하는 경우 STUB 안됨
Totally STUB
- STUB와 동일하지만, LSA TYPE 3(Summary LSA)도 차단
NSSA(Not So Stub Area)
- TYPE 5 차단 (dafault route 수동으로 전파)
- AREA 안에 ASBR이 존재하는 경우, STUB를 할 수 없기 때문에 NSSA로 만듬
-> NSSA AREA로 설정 되면, ASBR는 TYPE 5이 아닌 TYPE 7을 생성
-> TYPE 7은 Routing Table에서 N2 (N1)으로 보여짐
-> TYPE 7은 ABR을 통과하는 경우, 다시 TYPE 5으로 변경됨
Totally NSSA AREA
- NSSA와 동일하지만, LSA TYPE 3(Summary LSA)도 차단
- NSSA와 다르게, Default Route를 자동으로 전파 됨
OSPF Router의 종류
- Internal Router (AREA를 하나만 가지고 있는 Router)
- ABR (AREA를 2개 이상 가지고 있는 Router)
- ASBR ( AS를 2개 이상 가지고 있는 Router)
-> 다른 AS와 연결된 Router를 의미
OSPF가 EIGRP에 비해 가지는 장점 및 단점
장점
- 체계적인 Network가 만들어짐 (확장성)
- 다양한 옵션
- 정확한 경로 계산 (상대적으로 많은 경로에 대해 알고 있음)
단점
- 경로 계산이 상대적으로 느림
- 대체 경로가 없음 ( Topology 변화에 따른 SPF 다시 계산)
- Summary 약함
- 구성의 제약사항 있음 (AREA 0와 연결, 상황에 따라 Virtual Link 필요)
OSPF Summary
- Routing에서 Summary는 자신이 가지고 잇는 경로를 광고할 때 요약해서 보내는 기능
(Routing Update 감소, Routing Table 감소)
- LSA가 255개를 광고 -> Routing Table 255줄
172.16.0.0/16 -> 1줄로 요약(속한 network)
OSPF에서 Virtual Link가 필요한 이유
- OSPF는 계층적 구조 -> 반드시 Backbone Area인 Area 0와 연결되어 있어야 함
-> 그렇지 않은 경우 고립됨
-> 논리적으로 AREA 0와 연결하는 경우 필요 (분리된 AREA 0를 연결하는 경우)
Distribute-List 개념과 사용하는 이유
- distribute-list는 routing update를 조정하는 기능으로 특정 경로를 허용 또는 차단하는 용도로 사용되는 기능
-> 사용하는 이유 :
특정 경로를 특정 Router에게 광고하지 않기 위해 (Routing Update를 조정하는 용도)
Prefix-list 개념과 ACL과의 차이점, 장점
- Prefix-list는 access-list와 동일하게 Traffic을 분류하는 기능
-> Prefix-list는 Subnet 정보도 정의할 수 있다
-> 주로 Routing update시 Network을 정의 하는 용도로 사용
'네트워크 > Rout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BGP 요약 (0) | 2024.05.07 |
---|---|
FHRP와 VRRP, Track와 Preempt (0) | 2024.04.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