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Ops BootCamp/모니터링 12

쿠버네티스 모니터링

[C172] 쿠버네티스에 어떤 파드가 Pending 상태에 머물러있다면, 어떤 계층부터 살펴보아야 할까요? 이 경우는 파드가 Running 상태인데 잘 작동하지 않는 경우랑은 어떻게 다른가요? (서비스는 연결되어 있다고 가정합니다)(Pending 상태 - 해당 파드가 실행을 위해 필요한 모든 리소스(CPU 등)를 할당받지 못해 실행 대기 상태에 머물러 있다는 것) 어떤 파드가 Pending 상태에 머물러있는 경우 1. 노드확인 - 노드의 유무 및 노드에 할당된 자원이 충분한가 등 상태를 확인한다. 2. 노드 선택을 위한 스케줄러 동작 확인 3. 파드가 요구하는 리소스 양 확인 - 가용 자원이 보다 적으면 Pending 될 수 있음 4. 파드 실행을 위한 이미지 유무 확인 Running 상태인데 잘 작동하..

lambda 모니터링 주요 메트릭

람다를 모니터링하려는 경우, 메트릭을 활용해 어떤 질문이 나올 수 있을까요? 레퍼런스(Lambda 키 메트릭)를 읽고, 어떤 질문을 해결할 수 있는지 알아봅시다. (힌트: 레퍼런스 문서에서 how many, how much, how long으로 검색해 보세요.) lambda 개념 : AWS Lambda는 인프라 리소스(예: 서버 용량, 네트워크, 보안 패치)를 프로비저닝 하거나 유지 관리할 필요 없이 서버리스 애플리케이션을 구축할 수 있는 컴퓨팅 서비스입니다 Lambda 호출 방식 AWS Lambda는 event drivent architecture입니다. 즉, Amazon API Gateway의 API 호출 또는 DynamoDB 테이블 변경과 같은 다른 서비스의 이벤트에 대한 응답으로 트리거 됩니다. ..